공식문서를 봐야하는 이유
- 강의 1강씩 정리하다보면, 결국에 마지막에 지식들이 카테고리화가 잘 안돼서 Merge 가 되지 않는다.
- 공식문서는 카테고리를 잘 나눠뒀기 때문에 지식이 Merge 되기도 쉬운 구조이다. 반드시 공식문서 목차라도 간단히 읽고 내용이라도 간단히 읽어보자.
- 지식은 Merge 되었을 때에 가장 장기기억으로 넘어가기 쉽다고 생각한다.
프로그램 작성에서의 재미 요소
- GUI 가 뛰어난 프로그램을 작성하면, 마치 그래픽이 뛰어난 게임을 하는 것처럼 시각적 재미를 느꼈다.
- 뒷쪽에서 재미있는 데이터 연산이 일어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면, 마치 보드게임을 하는 것처럼 지적 유희를 느꼈다.
회사에서 하는것들 중 특이한 것은 메모를 잘해놓자
- 스프링 지식과 같이 범용적인 지식은 분명 인터넷에 있다.
- 그러나 와이즈넛 검색엔진과 같이 특정 도메인에서만 사용되는 것들에 대한 지식은 와이즈넛에 물어봐서 알 수도 있지만, 전임자가 해놓은 코딩을 보고도 알 수 있기도 하다.
- 이를테면 와이즈넛 검색엔진에서
|
를 하면 OR 조건이고 그냥처럼 띄어쓰기만 하면 AND 조건이었다.
- 그리고
contains
,gte
등의 키워드를 이용해서 검색엔진에 검색을 날리는 방식이었다. 이런것들은 다음 사람이 내 문서를 보고 도움을 받을 수 있게 조금 정리해두자.
- 이를테면 와이즈넛 검색엔진에서
- 그러나 와이즈넛 검색엔진과 같이 특정 도메인에서만 사용되는 것들에 대한 지식은 와이즈넛에 물어봐서 알 수도 있지만, 전임자가 해놓은 코딩을 보고도 알 수 있기도 하다.
창 잘 분배하기
- 심지어 창을 분배하는 것도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 ..
- 더군다나 요즘은 모니터가 커서 더 영향력이 크다.
- 생각보다 사소한 것들이 생각보다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.
- 최적의 체계를 만들어나가는 하나의 방법이다.
사람이 변화하는 시점
- 안 해본것을 해보는 것
- 싫어했던 것을 다시 해보는 것
이직에 관해서
- 돈을 이미 만족할만큼 받고 있으면서 편안한 환경이라면, 이직하는 것은 내가 이미 가지고 있던 것을 버리는 게 아니라 교환하여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다.
어떤 것이 사람의 행동을 지속하게 만드는지
- 의외로 객관적 퍼포먼스보다는 개인적으로 느끼는 감정이 중요하다.
- 지속이 가능하도록 긍정적인 감정을 지속적으로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.
더욱 원초적인 것에 집중하자
- SWC 프로젝트를 보고 많은 감명을 받았다.
- Rust로 JS 컴파일러를 만들어 얻은 부가수익은 어마어마하다. 그리고 아무나 이러한 일을 해낼 수 없다.
- 결국 기술적인 기반이 매우 잘 잡혀있어야 할 수 있는 일이다.
- 잘 보고 벤치마킹해보자.
- 타입스크립트를 이용해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조금씩 정리해보자.
-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그 자체보다는 이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이 어떤 때 어떤 문제를 해결했는지를 주로 살펴보자.
JS, Typescript, Rust 로 갈아타야 할 이유
- 이 이유에 대해서는 내 나름대로 답을 정했다.
- 생태계가 가장 살아있는 곳으로 갈 필요가 있다.
- 생태계의 성장에 개발자도 편승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.
- 다른 곳보다 스타가 될 확률이 높다.
- 아직 개발되지 않은 많은 것들이 존재한다.
- 찾는 곳이 많다.
- 숙련자가 부족하기에 찾는 곳이 많을 수 밖에 없다.
- 생태계가 가장 살아있는 곳으로 갈 필요가 있다.
- https://fe-developers.kakaoent.com/2022/220217-learn-babel-terser-swc/
자신감을 가지자
- 회사에서 하는 프로젝트에 대해 너무 자신감이 없다.
- 개선해야 할 점이 여럿 보이는 것은 어쩔 수 없다. 그러나 자신감까지 잃지 말자.
- 내가 프레임워크의 시초자라고 생각하고 열심히 만들어보자.
반응형
'회고 > 주간 회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블랙커피 JS 코드리뷰 스터디 step2 까지 회고 (0) | 2022.07.25 |
---|---|
7월 3째주 주간 회고 (0) | 2022.07.18 |
6월 4주차 회고 (0) | 2022.06.30 |
6월 4주차 기술회고 (0) | 2022.06.30 |
6월 3주차 기술 회고 (0) | 2022.06.22 |